전세 보증금이 부담스러운 청년들을 위한 전세대출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인데요.
저도 현제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통해 받은 보증금으로 전세를 이용하고 있는데 최근 금리가 올랐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최근 일부 변경된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아래의 주택도시기금 사이트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nhuf.molit.go.kr/FP/FP05/FP0502/FP05020303.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기본적인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출대상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3.45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예비 세대주 포함) |
대출금리 | 연 2.0%~3.1% |
대출한도 | 최대 2억원 이내(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대출기간 |
최초 2년(4회연장, 최장 10년 이용가능)
|
1.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상
청년전용이기 때문에 우선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가 대상이 됩니다. 나이 조건에 부합한다면 부부합산 연소득과 순자산가액에 대한 조건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일 경우 대출대상이 되는데요. 단,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타 지역으로 이주하는 재개발 구역 내 세입자, 다자녀가구, 2자녀 가구인 경우 6천만원 이하, 신혼가구인 경우는 7.5천만원 이하인 자라는 예외 대상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에는 부부합산이라고 나와있지만 미혼일 경우, 개인 연소득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하고, 주택도시기금대출, 은행재원 전세자금대출 및 주택담보대출과 중복대출이 불가합니다.
자산의 경우, 부부합산 2024년도 기준 3.45억원 이하인 자이며, 신청인에게 좋지 않은 신용정보(연체, 대위변제, 대지급, 부도 등)가 남아있다면 대출이 불가합니다.
2. 대출금리
금리의 경우, 현재 연 2.0%~3.1%까지라고 나와있는데 이 부분은 연소득, 우대금리 적용 등에 따라 나뉩니다.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맨 위에 올려놓은 주택도시기금 링크에 가시면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많은 조건 충족 시 1.0% 이상도 우대받을 수 있습니다.
(부부합산) 연소득 |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
~2천만원 이하 | 연 2.0% |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 이하 | 연 2.3% |
4천만원 초과 ~ 6천만원 이하 | 연 2.7% |
6천만원 초과 ~ 7.5천만원 이하 | 연 3.1% |
3. 대상주택
임차 전용면적이 85㎡ 이하인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및 채권양도협약기관 소유의 기숙사(호수가 구분되어 있고 전입신고가 가능한 경우에 한함), (단,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 60㎡ 이하 주택)
단, 셰어하우스(채권양도협약기관 소유주택에 한함)에 입주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면적 제한 없음
임차 보증금은 3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4. 대출한도
대출한도의 경우, 아래 중 적은 금액으로 산정합니다.
1. 호당대출한도
2억원 이하(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의 경우 1.5억원 이하)
2. 소요자금에 대한 대출비율
전세금액의 80% 이내
3. 담보별 대출한도
①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대출보증 : 해당 보증 규정에 따름
②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안심대출보증 : 해당 보증 규정에 따름
③ 채권양도협약기관 반환채권양도 : 연간인정소득 – 본인 부채금액의 25% – 기 기금전세자금대출잔액
조금 헷갈리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 전세 보증금 2억 3천만원의 주택을 대상으로 대출을 받을 경우, 1번 조건에 의하면 2억원을 초과하기 때문에 우선 2억원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2번 대출비율 조건인 2억 3천만원에 대한 80%를 계산해 보면 1억 8천 4백만원으로 계산됩니다.
1번의 2억원과 2번의 1억 8천 4백만원 중 적은 금액은 후자이므로, 2억 3천만원 주택의 최대 대출가능 금액은 1억 8천 4백만원이 되겠습니다.
이렇게 청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의 기본적인 조건과 정보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확실하게 본인이 조건에 부합하는지 알고 싶다면 은행에 직접 상담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도 인터넷으로 알아본 후 은행에 가서 직접 상담을 받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거든요. 주택을 정하고 가면 더 큰 도움이 되겠지만 본인 자체의 조건만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취급 은행은 아래 은행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세가 가진 위험이 있긴 하지만 잘 알아보고 활용한다면 경제적인 능력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주거 부분에 대해서 큰 도움이 되는 대출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물론 잘 이용하여 주거비 부담을 많이 줄였고요. ㅎㅎ
전세를 알아보시는 청년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 조건, 혜택, 장단점, 절세혜택 받는 투자방법 (3) | 2024.11.14 |
---|---|
청년월세지원 대상, 선정인원, 조건, 25년도 일정 알림받기 (1) | 2024.11.13 |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혜택 정리, 3년 후 나는 얼마? (2) | 2024.11.11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조건, 전환 방법, 혜택 총 정리! (2) | 2024.10.21 |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면 받는 혜택, 목돈 마련하는 청년 필독! (1) | 2024.10.11 |